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워킹맘을 위한 감정 리셋 수업 -3.감정 트리거 파악하기 (감정유발, 반복패턴, 감정관리)

by yuyu-love 2025. 10. 8.

감정을 잘 다스리기 위한 핵심은 ‘감정을 참는 것’이 아닙니다. 내 감정을 유발하는 상황과 자극(트리거)를 미리 알고 있는 것이 더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워킹맘처럼 감정 소모가 많은 삶에서는, 감정 트리거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반응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는 감정 트리거란 무엇인지, 반복되는 감정 패턴을 어떻게 파악하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소개합니다.

 

감정폭

감정은 이유 없이 폭발하지 않는다

우리는 흔히 “갑자기 화가 났다”, “왠지 모르게 속상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감정은 절대 갑자기 생기지 않습니다. 감정은 어떤 ‘자극’(트리거)에 의해 활성화되는 반응입니다.

예시:
- 아이가 밥을 흘릴 때 → 화가 나는 이유는?
- 남편이 집안일에 무관심할 때 → 분노가 올라오는 이유는?
- 직장에서 내 말이 무시당했을 때 → 속이 뒤집히는 이유는?

이런 상황에는 공통적으로
✔ 과거의 상처
✔ 반복되는 역할 부담
✔ 인정 욕구
✔ 억울한 기억
같은 감정의 ‘불씨’가 숨어 있습니다.

 

감정 트리커-생각하기

감정 트리거란 무엇인가?

트리거(trigger)란,
감정을 촉발시키는 상황, 말, 행동, 사람, 기억을 말합니다.
감정 트리거는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상황 속에 숨어 있습니다.

워킹맘의 흔한 감정 트리거 예시

  • “혼자만 일하는 느낌이 들 때” → 분노
  • “내 노력에 고마움이 없을 때” → 허탈감
  • “일과 육아 사이에 끼었을 때” → 무력감
  • “타인의 말에 내 감정을 설명할 수 없을 때” → 억울함
  • “누군가 조언 아닌 충고를 할 때” → 짜증

이렇게 나의 감정을 자극하는 포인트를 단순 사건이 아닌 '내면 반응' 중심으로 인식하면, 감정 관리의 키를 쥐게 됩니다.

트리거 인식의 3단계 연습

감정 트리거를 알아차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일지를 쓰는 것입니다. 단순한 사건 기록이 아닌, 감정이 요동친 순간을 중심으로 기록해보세요.

  1. 감정이 크게 요동친 순간을 떠올리기
    → 오늘 하루 중 가장 강하게 반응한 순간은?
  2. 당시 상황과 말, 사람, 장소 기록
    → 누구와 있었나? 어떤 말을 들었나? 어떤 행동이 있었나?
  3. 내면 반응 중심으로 파악
    → “왜 그게 나에게 그렇게 불편했을까?”
    → “이 감정은 어떤 욕구가 좌절되었을 때 자주 나타나나?”

예)
“남편이 ‘왜 이렇게 피곤해?’라고 말했을 때 순간 울컥했다.”
→ 겉으로는 피곤한 내 모습을 걱정하는 말
→ 실제로는 ‘나만 힘든 걸 모른 척하는 느낌’, ‘내 고생을 인정받지 못했다는 감정’이 올라온 것

감정 트리거를 알면 감정 반응을 바꿀 수 있다

✔ 감정 반응을 ‘선택’할 수 있다
트리거를 알게 되면, 다음에 같은 상황이 왔을 때 습관적으로 폭발하는 대신, 대응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 내가 이 상황에서 화가 나는 이유를 알지. 지금 반응하지 않아도 돼.”

✔ 불필요한 감정 소모 줄이기
트리거는 ‘불편한 감정’을 자주 유발하는데, 미리 알고 있으면 상대방의 말에 휘둘리기 전에 내 안의 감정을 먼저 조율할 수 있게 됩니다.

✔ 반복되는 패턴을 끊을 수 있다
‘항상 같은 상황에서 같은 방식으로 무너지는 감정 반응’을 멈출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감정 회복의 시작이자, 자기 보호의 실질적 연습입니다.

감정은 우연히 생기지 않습니다.
늘 우리 안의 어떤 자극(트리거)에 의해 반복되고 있을 뿐입니다.
내 감정을 자극하는 요소를 정확히 아는 것, 그것이 감정 회복의 핵심입니다.
오늘 하루 감정이 크게 흔들렸던 순간을 떠올려보세요.
그 순간 속에, 당신의 감정 트리거와 회복의 실마리가 숨어 있습니다.